chapter 1 Docker 설치
1.1 Docker란 무엇인가
1.2 우분투 환경에서의 Docker
1.3 OS X 환경에서의 Docker
1.4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
1.5 Amazon EC2 환경에서의 Docker
1.6 요약
chapter 2 Docker 살펴보기
2.1 Docker 이미지
2.2 Docker 컨테이너
2.3 Docker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2.4 Docker 레지스트리 허브
2.5 요약
chapter 3 첫 번째 PaaS 이미지
3.1 워드프레스 이미지
3.2 설정 추가
3.3 목표 설정
3.4 설정 유지
3.5 Github를 통한 이미지 호스팅
3.6 Docker 레지스트리 허브를 통한 이미지 배포
3.7 요약
chapter 4 데이터 보관과 명령어 인자 전달
4.1 데이터 볼륨
4.2 데이터 볼륨 이미지 생성
4.3 Github에서의 호스팅
4.4 Docker 레지스트리 허브에서의 퍼블리싱
4.5 데이터 볼륨 컨테이너 실행
4.6 컨테이너로 파라미터 전달
4.7 파라미터로 구성된 이미지 생성
4.8 요약
chapter 5 컨테이너 연결
5.1 수동으로 컨테이너 연결하기
5.2 데이터 볼륨 컨테이너 내용 살펴보기
5.3 Docker Compose를 활용한 컨테이너 연결
5.4 Crane을 활용한 컨테이너 연결
5.5 요약
chapter 6 역방향 프락시 요청
6.1 문제 설명
6.2 해결책 찾기
6.3 NGINX와 HAProxy를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
6.4 도메인 연결 자동화
6.5 요약
chapter 7 PaaS를 통한 배포
7.1 현 방식의 문제점
7.2 사용 가능한 도구와 서비스들
7.3 Dokku - mini-Heroku
7.4 Dokku를 활용한 워드프레스 배포
7.5 요약
chapter 8 끝나지 않은 이야기
8.1 Twelve-Factor 애플리케이션 방법론
8.2 Flynn
8.3 Deis
8.4 Rocket
8.5 오케스트레이션 도구
8.6 요약